[더프리뷰=서울] 김다인 기자 = 창무예술원이 주최하고 무용월간 몸지가 주관하는 제31회 무용예술상에서 밝넝쿨·인정주 안무의 <얍! 얍! 얍!>이 작품상을 차지했다.
이 작품은 어린이들이 춤추는 공연으로, 그들의 일상 속에서 펼쳐지는 작은 리듬과 몸짓말에 주목하고 있다. 8년 전부터 어린이 청소년 무용에 뜻을 둔 두 안무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어린이들이 자라나는 시간을 무대로 옮겨놓는 결정판을 보여줬다. 미래시제의 생명력이 풋풋하면서도 뛰어난 작품성을 자랑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안무상은 최진한에게 돌아갔다. 최진한의 <다크 룸 A Dark Room>은 어두운 방의 자아가 자신 안의 시대적 공포를 느끼는 악몽을 꾸면서 타자로의 열림을 지향하는 안무가 빛났다.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가면의 진리와 두절되는 커뮤니케이션의 현황은 독일 표현주의 스타일의 최진한 안무 색깔에 녹아들어 현재의 파국적인 한국사회를 잘 조명했다.
주목할만한시선상은 백연, 조인호가 수상했다. 백연은 <LANGUAGE>에서 언어의 기원과 몸짓말의 기원이 맞닿아 있다는 고고학적 수법으로 바디 랭귀지, 훈민정음 같은 세부 연구를 통해 실험적인 안무를 보여주었다. 조인호는 <서양극장 속 한옥>에서 한옥 건축이 내밀하게 갖고 있는 공간들을 몸으로 호출하는 파인아트 성격과 함께 노동의 관점에서 일하는 사람의 정경을 내보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주목할만한시선상은 일종의 ‘버금안무상’으로, 안무상에 준하는 상이다.
춤연기상은 전민철, 정성태, 권미정이 받았다. 전민철은 유니버설발레단의 <라 바야데르>에서 뛰어난 발레 연기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직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재학생이나 발레 연기는 마린스키 발레단 솔리스트로 전격 발탁될 정도로 물이 올랐다. 정성태는 <자유 시점, 궤도 이탈>에서 현대무용의 관습으로부터 이탈하여 죽은 자와 소통하는 공중전처럼 아크로바틱한 춤연기로 만장일치 선정됐다. 제작과정 자체가 작품 속에 말려들어간 이 작품은 굿판에 익숙한 한국춤의 어떤 단계를 뛰어넘었다는 평을 받았다. 권미정은 자신의 안무작 <먹이>에서 최종 포식자 인간이 먹기도 하지만 생명의 거미줄 속에서 ‘먹이’가 된다는 신선한 인식을 보여주는 연기로 수상했다. 김백봉 신무용을 배우고 한국무용을 전공한 권미정은 창작의 독특한 궤적을 보여주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전통춤연기상은 안나경, 최지원에게 돌아갔다. 안나경은 신무용의 기수 최승희 춤과 김백봉 춤을 각각 완벽에 가깝게 재현하여 ‘몸으로 쓰는 한국무용사의 한 페이지’라는 평을 받았다. 김백봉의 딸이기도 한 안나경은 무대 위에서 20세기 한국무용사를 펼쳐보이는 최근 창작 기획의 흐름이 왜곡굴절이 많은 현실에서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은 춤연기, 정확하면서도 생기발랄한 춤연기로 크게 다가왔다는 평을 받았다. 최지원은 호남살풀이춤의 대가 최선 명무를 사사했으며, 그에 기반한 흡인력 있는 창작춤 연기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무대예술상은 남산국악당 공연 담당 김지욱이 수상했다. 어느덧 창작춤의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잡은 남산국악당 무대의 현장 지휘로 원활하면서도 순조로운 무대미학을 뒷받침해온 공이 인정되었다. 점차 남산국악당 실내 공간뿐만 아니라 야외 무대까지도 개방하여 자연과 어우러지는 창작춤의 추세에 부합하고 있다는 평도 받았다.
공로상은 40년 이상 이 땅에 발레의 전진기지이자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 잡아온 유니버설발레단의 문훈숙 단장에게 돌아갔다. 문 단장은 한국 발레의 독립적인 단체 유니버설발레단이 광야에서 홀로 뚜벅뚜벅 걸어간 역사와 함께 해온 주역이자 산증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