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 2024 창작희곡 공모 대상에 김주희의 '역행기(逆⾏記)'
국립극단 2024 창작희곡 공모 대상에 김주희의 '역행기(逆⾏記)'
  • 이시우 기자
  • 승인 2025.01.08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프리뷰=서울] 이시우 기자 = 국립극단의 2024 창작희곡 공모에서 김주희 작가의 <역행기(逆行記)>가 대상을 차지했다. <역행기>는 8년째 집 밖으로 나가지 않던 잉여인간 ‘이슈타르’가 삶을 끝내기로 마음먹었을 때 지하세계로 역행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다. 지상의 여성이 시간과 공간을 역행하는 걸음에 신화적 외연을 부연해 급속도로 성장해 온 한국사회가 수 세대 동안 무심하게 지나쳤던 사회적 문제를 드러낸다.

왼쪽부터 배해률 작가, 박정희 국립극단 예술감독, 김주희 작가, 윤지영 작가
(사진제공=국립극단)

<역행기>는 “이야기가 요구하는 상상적 공간의 스케일, 그리고 이야기를 추동하는 주제의 다층성을 감안할 때 대작이라 부를만한 작품이다. 작품이 지닌 미덕들은 무대예술가들로 하여금 무대적 구현의 어려움을 기쁜 도전으로 받아들이게 할 것”이라는 평을 받았다.

김주희 작가는 “<역행기>는 작가로서 가장 취약한 점과 마주하려고 했던 작품이자 글쓰기에 있어 제 모든 관심사가 보관된 비밀스러운 사물함”이라며 “망가지고, 뒤틀리고, 부서지고, 숨으려 드는, 작고 연약한 존재들은 늘 빛이 난다. 앞으로도 글자들의 시작점에 그들을 제일 먼저 데려가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역행기>는 올해 낭독회와 작품 개발 과정을 거쳐 내년 본 공연으로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우수상은 배해률 작가의 <야견들>과 윤지영 작가의 <그라고 다 가불고 낭게>에게 돌아갔다.

1938년 일제강점기 조선을 배경으로 ‘뽀이’로 태어났지만 ‘모던걸’의 차림을 하고 사는 한 인간의 폭력 대항기를 그린 <야견들>은 “한정된 범위 바깥 존재들의 삶을 포용하려는 의지를 순수한 시선 때문에 가능한 유머를 섞어 보여주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라고 다 가불고 낭게>는 여수순천 10.19사건을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죽음을 목전에 둔 인물과 그의 어린 시절을 공존하는 시간으로 구성해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과거사를 다루는 작품의 상투형을 벗어내고 동화적인 방식으로 우리 시대에 절실한 치유의 시간을 선사한다”라는 평을 받았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에게서 들은 이야기에서 시작된 이 작품은 비극에 대한 우수와 상실감이 깊게 배어 있다.

왼쪽부터 김주희, 윤지영, 배해률 작가
(사진제공=국립극단)

배해률 작가는 시상식에서 “요즘 마주하는 세상 소식들이 무기력하고 불안하고 슬프게 하는 와중에 희곡을 쓰다 보니 곁을 내어주는 이야기, 낯선 서로를 위해 기꺼이 싸우기로 하는 이야기들에 매달리게 되었던 것 같다. <야견들> 역시 그런 작품”이라며 “국립극단 창작희곡 공모에 당선된 오늘 이 순간을 동력 삼아 좋은 희곡이 무엇인지, 또 희곡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지 고민하면서 작업을 이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윤지영 작가는 “글 쓰는 작가의 숙명으로 불안이 시간의 흐름을 역류해 과거를 붙잡고 몇 달, 몇 년이고 그 장면에서 살아내는 때가 있었지만 아껴주신 모든 분의 지지와 사랑 덕분에 숨을 고르고 가라앉기보다 방향을 잡는 쪽을 택해왔다”라며 “2025년 속도를 조금 더 내보라고 연료를 넣어준 국립극단 창작희곡 공모에 감사드린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국립극단 창작희곡 공모 대상에는 3천만원, 우수상에는 각각 1천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국내 미발표 희곡 공모 중 최대 상금 규모다. 한편 수상작으로 뽑히지는 못했으나 <명선전> <개기월식> <독> <반백의 둥지> <초록의 찬란> <아버지의 집> <하...그림자가 없다> 등 뛰어난 신작들이 한국 연극계의 무대를 새로이 빛낼 찬란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국립극단 창작희곡 공모 심사위원회는 “포스트 드라마의 시대, 현실의 급박한 전개가 드라마를 압도하는 시대에 희곡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희곡이 삶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에 대해 아야기하는 언어로 여전히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상식이 전도되고, 폭력이 농담같이 가해지고, 대화가 모욕받는 시대에 인물들을 고집스럽게 대화로 연결하는, 대화의 연결이 여전히 가능하다고 믿게 하는 희곡들을 만났다”라고 총평했다.

2024년 공모에서는 접수된 303편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두 달 동안 진행된 심사에서 18편이 심사위원 추천작으로, 최종 본심에서는 6편의 작품이 올랐다. 시상식은 지난해 12월 30일(월)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