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프리뷰=서울] 이종찬 기자 = 국립현대무용단이 김성용 단장 겸 예술감독의 신작 <인잇>(공동주최 국립현대무용단, 국립극장)을 오는 6월 7-9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인잇>은 아시아 무용교류 활성화, 세계 현대무용 선두라는 김성용 단장의 포부를 담아 기획된 DMAU(Dance Makes Asia Become the Universe) 프로젝트의 첫 작품이다.
DMAU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 <인잇>
김성용 단장은 지난해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 현대무용의 허브 역할을 하겠다“ ”현대무용의 중심을 아시아로 끌어오도록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는데, <인잇>은 그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인잇>의 드림팀을 구성하기 위해 지난 2월 무용수 32명과 4일간 워크숍을 진행했고, 일본,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등에서 합류한 아시아계 무용수 9명과 한국 무용수 2명이 최종 선발되어 무대에 오른다. 국립극장에서 초연을 거쳐 국내 및 북미, 유럽 등 해외로도 작품을 활발히 유통시킨다는 계획이다.

<인잇>은 ‘단순함 속의 복잡성’ ‘반복 속의 깊이’ ‘무의식과 의식의 공존’이라는 역설적 키워드 아래 무용수 개인의 삶, 고유한 몸의 역사와 춤의 본질을 무대 위에서 풀어낸다. 서로 닮은 듯 다른 아시아의 무용수들은 동일한 ‘잇(It)’에서도 각자의 몸, 내재된 ‘인(In)’을 통해 다르게 감각하고 표현한다. 김성용의 안무 방법론인 ‘프로세스 인잇(Process Init)’으로 개발된 움직임은 안무가와 무용수, 무용수와 관객 사이의 장벽을 무너뜨려 보다 직관적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김성용은 "<인잇>은 아시아 무용수들 각자의 삶이 녹아든 작품이다. 개개인의 고유한 개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눈여겨봐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압축적이면서도 감각적인 무대디자인과 음악의 조화
<인잇>의 무대는 무용수의 개성적인 움직임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한다. 무대디자인에는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및 주제공연의 아트 디렉터를 담당한 시노그라퍼 유재헌이 참여, 마크 로스코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압축적이면서도 감각적인 디자인을 선보인다. 음악감독으로는 악어들밴드의 유지완이 참여한다. 작곡뿐 아니라 사운드 디자인, 설치, 퍼포먼스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는 대구시립무용단 <아이튜브> 등에서 김성용 단장과 호흡을 맞춘 바 있다. 간결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무대디자인과 색다른 음악의 조화로 독창적인 무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장권은 인터파크 티켓, 국립현대무용단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며 공연문의는 02-3472-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