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프리뷰=서울] 이종찬 기자 = 5월 25일(토) 오후 5시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법열곡> 공연이 펼쳐진다.
이번 무대는 한국춤 역사의 맥을 잇는 뜻깊은 공연이다. 지난 1971년 벽사 한영숙 선생이 국립극장 무대에 올려 동시대 예술인들에게 강렬한 영감을 주었던 <한영숙춤 법열곡>, 20여 년이 지난 1994년 문예회관대극장에서 스승의 예술혼을 이은 맏제자 고(故) 이애주가 펼친 <이애주춤 법열곡>, 그리고 다시 30년이 흐른 2024년 그의 제자들이 스승이 화두로 추구한 춤의 원리와 승무에 내재한 '법열의 미학'을 탐색하고자 준비한 이번 <법열곡>이 그 세 번째이다.
국문학자 이두현은 당시 <한영숙춤 법열곡>을 보고 “불교 의식무의 법통이 조선말의 한성준 옹으로부터 그 손녀인 한영숙에게 이어져 오늘 그 제자들과 더불어 무대화됐다는 것은 감개무량한 바가 없지 않다”고 했다. 또한 민속학자 임동권은 <이애주춤 법열곡>에 대해 “좋은 춤이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춤이 아니라 스스로 내면의 감춰진 세계를 밖으로 내뿜는 춤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애주의 춤이 그러했다고 평했다.
법열(法悅)은 ‘불법(佛法)을 듣거나 생각하거나 행함으로써 생겨나는 가없는 환희’를 뜻한다. 우리 전통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는 승무(僧舞)가 바로 이 법열을 구현한 우리춤의 정수(精髓)다. 한영숙 선생과 이애주 선생이 나란히 <법열곡>을 통해 승무에 내재한 ‘법열의 미학’을 추구했던 과정이 잊힌 지금, 제자들은 영산재 전승교육사이자 이애주 <법열곡>에 함께 출연했던 일운스님에게 오랜 기간 작법무를 배우면서 전통춤의 단순한 복원·계승을 넘어 재창조와 확장의 시도를 보여준다.
김연정 예술감독은 “불교 작법무를 학습하고 승무를 추면서 몸에서 피어나는 깨달음의 환희, 비워냄으로써 충만해지는 법열 속에서 스승님들을 만나고 싶었습니다.”라며 <법열곡>의 부제 ‘마음 하나에 펼쳐진 우주’의 뜻을 전했다.
이번 공연에서는 일운스님과 지허스님, 해사스님, 회정스님, 기원스님이 특별출연해 불교 의식무를 함께 공양하고, 이애주의 제자들은 40분에 이르는 한영숙-이애주류 완판 승무로써 궁극의 평화, 법열의 의미를 새긴다.
이애주문화재단(이사장 유홍준)이 후원하고 이애주한국전통춤회(회장 윤영옥, 예술감독 김연정)가 주관하는 이번 공연은 이애주한국전통춤회 '우리 춤 원류 찾기'의 첫 번째 여정이다.
서울남산국악당 홈페이지(www.hanokmaeul.or.kr)에서 입장권을 예매할 수 있으며 단체, 예술인, 학생 할인이 가능하다.

이애주문화재단
이애주문화재단(이사장 유홍준, 상임이사 임진택)은 시대의 춤꾼 이애주 선생이 우리 곁을 떠나기 전 전통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설립한 공익단체다. 재단은 한성준 바탕, 한영숙 류, 이애주 맥의 전통춤 전승을 지원하는 한편, 이애주 선생이 실천으로 보여준 역사맞이춤을 발전시켜 전통예술·현대예술의 창작 지평을 보다 넓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애주 선생의 바람대로 무용 뿐 아니라 음악·연극·미술 등 다양한 문화·예술이 협력하는 공동체를 만들고, 건강한 문화·예술인을 발굴 육성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