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프리뷰=서울] 강민수 기자 =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CID-UNESCO) 한국본부가 주최하는 제27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 예술감독 이종호)가 9월 1일(일)부터 9월 14일(토)까지 서울시내 주요 공연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한국 포함 9개국이 참가, 16건, 21회의 공연을 통해 35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국제합작 ▲해외초청 ▲국내초청 ▲기획제작 등 다채로운 라인업을 펼쳐보일 예정이다. 공연은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삼일로창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은평문화예술회관 공연장, 서울남산국악당 등지에서 열린다.
특히 올해 축제에서는 시민들이 현대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현대무용을 어려워하는 일반인의 눈높이와 관점에 맞춰 좀 더 접근하기 쉬운 작품들로 편성했다.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현대무용 공연과 함께,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워크숍, 예술가와의 대화 등 부대행사도 마련돼 있다. 이를 통해 현대무용이 더 이상 어렵고 낯선 예술이 아닌,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국제합작 프로그램은 캐나다와 한국이 함께 한다. 작품은 HBE 무용단(Human Body Expression)의 <몸(BODY)>이 준비돼 있다.
해외초청 프로그램으로는 호주 리모사니 프로젝트(Limosani Projekts)의 <야만인들(BÁRBAROS)>, 룩셈부르크 사라 발칭어&이사야 윌슨(Sarah Baltzinger&Isaiah Wilson)의 <거대 구조(MEGASTRUCTURE)>, 폴란드 폴리시 댄스 시어터(Polish Dance Theatre)의 <45>, 체코 부르키콤(Burkicom)의 <섬!(The Island!)>, 스페인 기 나데르&마리아 캄포스(GN|MC)의 <공간으로 이루어진(MADE OF SPACE)>, 이탈리아 듀이 델 무용단(Deway Dell)의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 스페인 아나마리아 & 마지(Anamaria & Magí)의 <꼬쏙(COSSOC)>, 이탈리아/벨기에 인시에메 이레알리(INSIEME IRREALI)의 <벌집(HIVE-our hydrological need of cosmic lines)>등 8편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국내초청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고블린파티&갬블러크루의 <동네북>, 5Edges/김형민의 <I dance the theater>, 전복된 해부학적 풍경의 <2122.21222> 그리고 서울남산국악당과 시댄스의 공동사업인 코스모스인아트의 <도깨비 꿈터>가 준비돼 있다.
기획제작으로는 서울남산국악당과 SIDance의 공동사업인 ’유파전‘ 서울교방 <김경란류 권번춤 예맥 : 반월(半月)>과 ’한국의 춤‘ <영남무악(嶺南舞樂)>이 진행된다.
이와 함께 유행가 한 곡에 안무를 입혀보는 성승정의 <댄스있송-일렁일렁>, 작년과 같이 젊은 안무가들의 창작계 본격 진입을 지원하는 시댄스 투모로우(SIDance Tomorrow)도 마련했다.

이종호 예술감독은 “재정과 인력 등 민간 차원에서 순수예술축제를 만들어가기가 날로 어려워지는 최근의 현실에서 과거와 같은 고품격, 대형 무용축제를 유지하기가 거의 불가능함을 실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일반시민들을 현대무용의 세계로 좀 더 가까이 초대하기 위해 난해하지 않으면서 현대무용의 본질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작품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라고 말했다.
입장권은 인터파크(http://tickets.interpark.com), 아르코·대학로 예술극장(http://theater.arko.or.kr), 서울남산국악당(http://hanokmaeul.or.kr)에서 구매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세계무용축제 홈페이지(http://sidance.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